목록전체 글 (99)
피브릴 컬렉터즈 에디션

본작은 합본판으로 바텐 카이토스 1편과 2편의 리마스터판이 같이 들어 있지만 이 글에서는 1편의 내용만 설명한다. 1편의 전체 제목은 [바텐 카이토스 ~끝나지 않는 날개와 잃어버린 바다~]이나 으레 그렇듯이 너무 긴 부제는 생략했다. 사실 내가 이 게임을 하게 된 계기는 사실상 게임의 표지 일러스트에 속아서 하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. 이번에 나온 리마스터판의 일러스트만 보면 되게 미려한 캐릭터들이 나오는데 막상 1편에 들어가보면 애들 일러스트가 완전 징그럽다. 아 속았다! 라는 외침이 절로 나왔다. 징그럽다는 너무 심한 표현일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처음에 진짜 그렇게 생각했으니 어쩔 수 없다. 솔직히 이제와서 생각하면 나는 의외로 RPG의 일러스트에 꽤 민감한 편이란 말이다. 그래서 상당히 거북했다.그럼에..

마리오 루이지 RPG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의 리메이크 작품이다. 흔히 일본에서는 줄여서 [마리루이] 시리즈라고 불리는데 한국에서는 딱히 줄임말은 없는것 같다. (그냥 내가 모를수도 있다.) 이 게임의 시초는 이제는 리메이크 되어서 많이들 아는 SFC 시절의 슈퍼 마리오 RPG가 바로 원조가 되겠고 오히려 그 작품 이후로는 그쪽은 후속작이 나오지 않고 이쪽 마리오&루이지 RPG쪽이 오히려 시리즈화가 되어 명맥을 이었다. 물론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도 따로 있고 그쪽도 RPG 요소가 있지만 그쪽 제목에는 RPG가 붙지 않았으니 좀 묘한 감이 있다. 아무튼 슈퍼 마리오 RPG의 명맥은 이쪽과 페이퍼 마리오로 양분되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이쪽 시리즈를 더 좋아한다. 당시 이 시리즈는 NDS~3DS 시절에 많이 나왔..

이번 클리어노트도 원래는 페이퍼 마리오 천년의 문 리메이크가 나오기 전에 올리려고 했지만 실패했다! 실패한김에 나중에 올릴까 했지만 그래도 이런 밀린 작품부터 올려야 하지 않겠나 싶어서 올리게 되었다. 페이퍼 마리오 신작이 나온지 한참 지난 이 시점에서 구작인 종이접기 킹의 리뷰와 공략을 올리는게 뭔 뒷북이냐 싶지만 그래도 누군가는 신작을 즐기기전에 전작부터 알아보거나 혹은 신작을 하고나서 전작을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긴 하겠지. 그래서 나보다도 더 나중에 이 게임을 하게 되는 사람도 분명히 많을거라고 생각한다. 그러니까 이 글도 아예 도움이 되지 않는 뒤늦은 글은 아니기를 바란다.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는 글이기를. 사실 원래 나는 마리오의 페이퍼 시리즈에는 딱히 관심이 간 적이 없었다. 이것 외에도 요시..

이번에 급하게 올리게 된 이 클리어노트는 바로 루나 시리즈의 1편이다. 원작은 메가CD판으로 나온 [루나 더 실버 스타]이지만 PS1으로 이식되면서 게임명이 [루나 실버 스타 스토리]로 변경됐다. 사실 내 기준으로는 상당히 나중에 올릴 작품일 정도로 이것보다 먼저 깨두고도 아직 올리지 못한 클리어노트가 한참 쌓여 있는데 최근에 이 작품의 리마스터가 발표되어 리마스터가 나오기 전에 이것부터 미리 올려야되겠다 싶어서 순서를 앞당기게 되었다. 아무래도 리마스터가 나온 다음에 올리면 왜 리마스터 나온 작품을 왜 이제와서 원작으로 하고 있냐고 지적이나 받을것 같기도 하고이런 비슷한 이유로 예전에 클리어노트를 만들어놓고도 못 올린 작품도 있었기 때문에 그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이렇게 미리 올린다. 다만 그래서 클..

닌텐도 스위치를 구입했다면 당연히 플레이해야 하는 게임. 아니 반대로 이 게임을 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구입해야하는건가? 그건 그렇고 이번에 이 리뷰&공략 글을 올리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되었는데 이 게임의 제목이라면 당연히 [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], 통칭 [젤다 야숨]이라고 누구나 다 알거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이 게임의 진짜 제목은 [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]가 정식 명칭이란다. 왜죠?? 알아보니까 난 사실 일본 제목이 [野生の息吹] 같은걸꺼라 생각했는데 원제부터가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란다. 그니까 결국 닌텐도에서는 일본어 원제부터 영어를 부제로 쓰면서 전세계 네이밍 통합을 노렸다는걸 알 수 있다. 근데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너무나 야생의 숨결이 오피셜인양 당연스럽게 굳혀졌..

디볼버 게임즈에서 유통하고 사보타주 스튜디오라는 곳에서 만든 플랫포머 게임 [더 메신저]다. 개인적으로 디볼버 게임즈에서 내놓는 게임들은 아무래도 내 시선을 끄는 작품들이 많은데 일단 도트라는 점이 마음에 든다. 여기서 나온 게임중에 나는 [페나리움]이란 게임을 참 좋아하는데 아주 빠져서 했지만 아무래도 볼륨이 적다 보니 블로그에 클리어노트를 올리기에는 좀 애매해서 올리지는 않았었다. 일단 이 게임을 고르게 된 이유는 그래서 위의 디볼버 유통+도트라는 점도 있었지만 예전에 [셔블 나이트] 라는 삽질기사 게임을 해 본 이후로 이런 그래픽의 게임은 뭔가 재밌을거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. 그러니까 셔블 나이트가 이 게임을 구입하게 해줬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. 심지어 다른 제작사인데! 물론 나는 맨 처음엔 그래..